노화나 질환, 부상으로 인해 뼈연골과 무릎 관절뼈 사이에 있는 연골이 상했을 때 인공 관절을 삽입해 통증을 없애고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는 수술법입니다.
노령화나 질환, 부상으로 인해 무릎 관절의 일부만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는 수술이다. 인공관절에 비해서 절개가 작으며, 재활기간이 빠른 장점이 있다.
초기 관절염에 적응이 되며, 먼저 뼈를 싸고 있는 연골 중 상한 부위를 깨끗이 정리한다. 이후 장비를 이용해 해당 관절 부위에서 연결되는 두 뼈의 각도를 관절염이 생기기 이전으로 정확히 측정한다. 이후 닳은 부분의 연골을 절제해내고 금속물을 이용해서 씌운 후에 인공 연골을 넣어주는 방법. 기존의 인공 관절과는 달리 손상된 관절 일부만 교체하기 때문에 재활 기간이 짧으며, 절개 또한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정상 구조를 일부 보존하기 때문에 수술 후 관절 운동이 정상에 가깝다. 재활 기간이 더 짧으며, 절개가 작으며, 회복이 빠른 게 장점이다. 관절염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시행하기가 어렵다.
무릎 관절 세 개 중에 한 개의 관절만 망가진 초기의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나, 인공 관절의 수명이 전치환술을 시행한 경우보다 짧은 게 단점이다.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조기 운동에 나선다. 근육 강화와 혈액 순환을 위해 필수적이다.
통증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관리를 한다. 무조건 진통제를 피하는 것은 옳지 않다
타 병원 방문 시에는 반드시 수술 사실을 알린다.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무릎 내에는 허벅지뼈와 종아리뼈 사이에 고무판 같은 초생달처럼 생긴 반월상연골판이 있는데 걷거나 뛸 때 위와 아래의 뼈가 만나는 지점에서 뼈연골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연골판이 부분적으로 파열된 경우는 내시경을 통하여 정리해주면 되지만 연골판이 심하게 손상을 입은 경우는 관절뼈가 직접 닿게 돼 뼈연골을 손상시킨다. 이때 이 새 연골판을 만들어 주는 수술이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이다. 연골판은 한번 손상되면 머리카락처럼 붙일 수 있는 경우가 굉장히 제한된다. 따라서 치료자는 우선 건강한 연골을 살리기 위해 전력을 다한다. 또한 손상이 심한 경우라도 이 수술을 통해 관절 연골뼈를 보호하기 위해 주력한다. 특히 젊은 환자의 경우 자기의 관절을 사용해야 하는 시간이 많이 남아있으므로 그럴수록 반월상 연골판을 정상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더 하게 된다
연골판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남아있는 연골판을 정리하고 다른 사람의 연골판을 이식한다. 흔히들 눈이 많이 손상됐을 경우에 시행하는 각막 이식술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수술 전 정확하게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자기에게 맞는 이식될 연골판을 측정한 다음 관절경을 통해서 수술한다. 연골판은 무릎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1개씩 있는데 모양이나 기능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외측이 손상되었으면 외측 연골판 이식술을, 내측 연골판이 손상이 되었을 경우는 내측 연골판 이식술을 시행한다. 수술 시간은 약 1시간 30분 가량 소요되며 입원 기간은 3-5일 정도면 충분하다.
연골판을 관절염이 발생하기 전에 이식함으로써 자기의 무릎으로 생활이 가능하다.
다리의 구부리고 펴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으며 관절경으로 대부분 수술을 시행하기 때문에 입원기간이 짧고 재활치료를 빨리 시작할 수 있다.
젊은 환자 중 운동 중, 일상 생활 중에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반월상 연골판이 심하게 손상을 입은 환자
연골판 기형으로 과거 연골판을 많이 절제하여 수술을 받은 경우
치료 후 3~4 주간 목발보행을 시행한다.
치료 후 2~3개월간은 쪼그려 앉거나 무리한 운동을 삼가한다.
관절을 움직이는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은 지속적으로 시행한다.
십자인대가 파열된 경우는 허벅지뼈와 종아리뼈가 고정이 되지 않고 따로 움직이기 때문에 두 뼈 사이에 있는 충격을 완화해주는 고무판 같은 연골판이 손상돼 나중에는 뼈연골까지 상하게 되어 관절염이 발생한다. 십자인대 수술은 자기 인대나 남의 인대를 사용하여 새로 인대를 만들어주거나 남아있는 인대가 있으면 인대봉합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인대를 만들어 주는 위치가 인대수술의 중요한 성공열쇠다. 과거에는 눈으로 위치를 선정해 재건술을 시행했지만 최근에는 을 이용해 정상 인대의 정확한 위치추적이 가능하고 인대가 뼈주변에 닿아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목적은 전방십자인대를 복원해 줌으로써 다치기 전의 90%이상으로 기능을 회복시켜주며 관절염의 진행을 막는데 있다. 급성기의 치료는 붓기가 빠진 후 관절 구부리는 운동을 시행하고 상태에 따라서 관절경을 이용해 재건 수술을 한다. 대부분 무릎 밖의 인대을 채취하여 무릎 안에 인대를 새로 만들어 주지만 본인의 인대가 여의치 않을 경우 동종 인대를 이용한다. 4.5mm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이용, 최소 절개를 통해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는데 자기의 슬곽건이나 슬개건, 타가인대를 이용한다. 을 이용하여 환자마다 다른 형태의 뼈 사이즈나 인대를 정확히 측정한 후 무릎 안에 인대를 만들어 기존에 파열된 인대 위치를 복원해 준다.
을 이용함으로써 상처가 작고 출혈도 작으며 통증이 별로 없어서 재활 치료가 빠르며 빨리 그 전의 운동상태로 되돌릴 수 있으며 가장 정확한 위치에 인대를 만들어줌으로써 인대가 수술후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인대 주변에 뼈가 닿지 않게 만들어서 인대 마모를 줄여 수술의 성공률을 높인다.
수술 부위에 비닐 주머니에 얼음 반 물 반을 섞어서 얇은 수건에 싸서 얼음찜질을 한다. 하루에 3-4회 나누어서 15분 정도씩 시행한다.
수술 부위의 다리는 심장 높이보다 베개를 이용해 높게 올린다. 이렇게 하면 피가 아래로 쏠리게 되지 않아 붓기가 빠진다
나이가 젊고 말기 관절염은 아니지만 중기이상의 관절염으로 무릎에 통증이 있으며 휜다리의 경우에 관절내에 심하거나 부분적인 관절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휜 다리(안짱다리)를 원래 모양으로 펴 주기 위해 시행한다. 대개는 휜다리의 관절 안쪽이 닳아져 있기 때문에 다리를 똑바로 펴서 무릎 내측과 바깥쪽에 체중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인공관절을 하지 않고 자기의 관절을 쓸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이다. 다리를 똑바로 만들기 위해서는 수술실 내에서 확인이 어렵지만 수술중간에 계속 으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금 덜 펴졌으면 더 교정하고 너무 과교정된 경우는 바로 확인하여 교정각을 줄여서 가장 이상적인 축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공관절을 하지 않고 자기 관절을 이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다리 관절운동 범위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장 이상적인 절골술의 위치는 축이 중앙에서보다 약간 정상 관절보다 무릎 바깥쪽으로 치우친 62%정도의 위치로 만들어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장비를 이용, 관절이 휜 정도를 3D영상을 통해 정확한 수치로 계산한 후 무릎을 똑바로 펴 준다. 과거에는 수술이 끝나고 난 후에야 병실에서 사진 촬영을 해서 이상 여부를 확인했다. 하지만 이상이 발견된 경우라도 수술이 끝났기 때문에 교정이 불가능했었다. 을 이용하는 최근에는 교정이 과한 경우나 덜 된 경우를 시술하면서 즉시 확인 및 바로 잡아서 정확한 축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종아리뼈를 교정한 후 그 사이에 남의 뼈나 자기 뼈를 이용해 받쳐주므로 나중에 자기 뼈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무릎 관절 아래 부분인 종아리 부분에서 무릎이 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나이가 젊고 관절염이 심한 환자
휜 다리(안짱다리)인 사람
부분적인 관절 손상을 입은 환자
수술 후 골유합이 필요하여 3-4주 목발보행을 시행해야 한다.
관절에는 뼈를 보호하는 뼈연골이 있다. 이 뼈연골 일부가 상한 경우 건강한 연골 세포를 추출해 인체 밖에서 배양을 통해 증식한 후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이다. 연골세포는 한번 손상되면 재생속도가 느려 인체 내에서는 거의 재생되지 않는다고 보면 되기 때문이다. 허벅지뼈 연골이 손상된 경우는 처치를 받지 않으면 아래 종아리뼈 연골까지 손상을 주게 돼 손상이 가속화된다.이때 이 손상된 부분을 연골세포치료를 통해 메꿔 주는 수술 방법이다. 고속도로에 길이 파인 경우 똑같은 재질을 이용해 덮어주는 시술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먼저 관절경을 이용해 관절의 건강한 연골 조직을 성냥개비 정도만큼 작게 채취, 한 달간 실험실에서 배양을 통해 정상 연골 세포 1200만 개 정도로 증식시킨다. 이렇게 배양된 연골세포를 손상 부위에 이식하면 자기 연골 세포로서 거부반응이 없이 손상된 부분을 메꿀 수 있다.
다리의 축이 정상이면서 무릎 연골에 부분적으로 손상이 있는 환자.
스포츠 손상이나 교통사고 등의 외상으로 인해 연골 일부가 손상된 환자.
55세 이전의 환자가 연골이식술을 받을 경우 회복도 빠르다.
퇴행성 질환으로 일부 연골 손상을 입은 환자는 선택적으로 시행 가능.
수술후 3-4주 정도의 이식된 연골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목발 보행이 필요하다.